초겨울 찬 바람이 귓전을 스치고 <가시고기>가 가슴을 자꾸 후벼 판다. 세월 흘러 다시 읽어 보니 다가오는 사연이 너무 절실하다. 어쩌면 우리 모두는 타인의 하늘, 타인의 땅에서 허우적거리고 있는 것은 아닌지..... 조창인의 장편소설 <가시고기>를 읽고 후기를 남겨 본다.
==================================
[명상수필: 타인의 하늘,타인의 땅]
세상이 허무하게 느껴질 때 그때 하늘을 보거나 땅을 보면 나와는 전혀 관계가 없는 하늘이요 땅이 된다. 나도 허리가 아프고 온몸이 축 늘어져 죽을 것만 같은 고통을 느꼈을 때는 분명 그 하늘이 타인의 하늘이요, 타인의 땅으로 다가왔다. 나와의 인연이 다해가는 하늘은 곧 무너져 내릴 것만 같았고, 땅은 그대로 꺼져 버릴 것만 같았다.
타인의 하늘, 타인의 땅.끝내 간암 말기 판정을 받고 죽어가는 정호연. 그는 최근에 내가 읽은 소설의 주인공치고는 가장 비참하고 불쌍한 인간이었다. '가시고기' 같은 일생을 살다 간 남자. 생의 끝자락에서도 결코 자존심을 못 버리고 죽어간 남자. 작가 조창인은 그를 가시고기로 만들었다.
가시고기는민물고기다. 산란을 끝낸 엄마고기는 뒤도 돌아보지 않고 자신의 또 다른 삶을 위해 비정하게 자식을 버리고 어디론가 떠나버린다. 그 후 알을 부화시키는 일은 아빠 가시고기의 몫이다. 새끼들을 먹으려고 달려드는 다른 물고기들로부터 목숨을 걸고 지켜낸 이들이 무럭무럭 자라 아빠고기를 돌아서면 그는 돌 틈에 머리를 처박고 죽어 버린다. 가슴 아프다. 그것도 시리도록 아프다. 어쩌면 경우가 다를지라도 세상 모든 이들 가운데 비슷한 처지의 사람들이 느끼는 동병상련인지도 모른다. 그것이 엄마고기든 아빠고기든 마찬가지로. 자신의 하늘과 땅을 잃어버린 채 살아가는 군상들.
십 년이 훌쩍 지나 책꽂이에 박혀 있는 이 책을 다 시 들고 훑어간 시간은 그리 오래 걸리지 않았다. 텅 빈 거실 그리고 두 개의 방에 걸려 있는 딸과 아들의 결혼식 사진들이 눈에 들어온다. 가던 눈길을 멈추고 잠시 창문을 열고서 하늘과 땅을 바라본다. 또 다른 의미로 다가오는 타인의 하늘, 타인의 땅.
소설 속 핵을 이루는 이들 세 사람, 아빠 정호연, 엄마 하애리, 아들 정다움. 이들은 분명 타인의 하늘과 타인의 땅을 살아가고 있는 일군의 우리네 모습이다. 특히 아들을 하늘이라 여기며 자신의 일생을 송두리째 빼앗긴 남자 정호연. 병실 바깥 벤치에 앉아 끝내 뒤도 돌아보지 않고 돌아서는 아들 정다움에게 끝까지 희망을 던져 주는 가슴저리게 하는 남자. 정말 가시고기가 되어버린 인간. "죽어라. 죽어". 눈물보다는 쓸쓸하고 외롭게 그를 짓누르는 페이소스에 왜 그렇게 분노가 치미는지.
창문에 되비친 내 머리카락은 헝클어질 대로 헝클어져 있다. 아들 녀석을 살리기 위해서 전재산을 탕진하고 동분서주하다 결국 피를 토하며 쓸쓸하게 아들의 뒷모습을 바라보며 끝내 자신의 병을 밝히지 못하고 시인의 삶을 살다 간 남자. "세상을 사랑하고, 또 세상으로부터 사랑받는 다움이 가 되길 바란다". "아빠는 죽어도 아주 죽는 게 아니란다. 세상에 널 남겨놓은 한 아빠는 내속에 살아 있는 거란다. 영원히, 영원히"......
정다움, 처음에는 여자 아이의 이름인 줄 알았다. 녀석 참 다정다감하고 강인한 아이다. 초등학교 삼 학년 답지 않게 아빠를 꿰뚫어 보는 눈이 예사롭지 않은 백혈병 환자다. 나이 세 돌이 지날 즈음 화가로서의 의미 없는 결혼 생활을 포기하고 끝내 양육포기 각서를 쓰고 자신의 스승과 재혼을 하며 프랑스로 날아간 엄마를 둔 녀석. 두 사람의 이혼과 동시에 찾아온 백혈병. 극심한 고통 속에 몇 번의 고비를 넘기면서도 끝내 살아나 어미의 품속으로 날아간 어리지만 강인하고도 끈질긴 생명의 소유자. 이 녀석을 바라보는 내내 축구선수 "이강인"이 머리를 떠나지 않았다. 다부진 인생, 끝내 기사회생한 강인한 생명력으로 통쾌한 승부수를 날리며 각인된 사람. 소설 속 정다움이 아니라 그의 인생이 강인한 생명력으로 아름답게 거듭나기를 바라는 내 마음은 이미 기도로 변해 있었다.
자식을 버리고 떠났지만 여자는 죽을 때까지 그 자식을 가슴에 품고 가는 것일까. 모질게 버리고 독하게 다시 그 자식을 앗아가는 그녀의 이름은 하애리. 자신의 인생을 위해 한 때는 남편 시인을 동경했던 여자. 정호연이 해병대를 만기 제대하고 4학년에 복학하며 대학신문에 투고한 그의 시가 좋아서 그의 시에 삽화를 그려주며 접근한 이기적인 여자. 교활하게도 그는 순진한 한 시인의 일생을 짓밟고 자신의 그림 인생을 완성해 가는 하이에나 같은 동물적 모성애를 지닌 여인. 시인의 감성으로 아들을 위해 자신의 인생을 송두리째 받친 남편의 희생을 "아들을 위한 희망"이란 이름으로 냉철하고도 여유롭게 아들을 앗아가 버리는 여인, 그저 나에게는 그녀가 여우를 닮은 하이에나로만 느껴졌다.
텅 빈 거실, 이 방 저 방을 지키고 있던 사람들이 모두 떠나 버린 타인의 하늘, 타인의 땅을 오늘도 나는 버리지 못하고 있다. 경우야 다르겠지만 나름의 고난을 헤집고 살아가는 또 다른 가시고기와 같은 이들에게 스스로 경애를 표하며 고개를 드는 순간 축구선수 이강인이 날린 공이 누군가의 머리를 맞고 정확히 골인되는 장면이 다시금 클로즈업되고 있다.비롯 소설 속 정다움이지만 프랑스로 날아간 그가 언젠가는 가시고기가 된 "아빠 가시고기"그림을 들고 환하게 웃으며 귀국하기를 꿈꾸어 본다. 조창인의 장편소설 <가시고기>가 모르긴 해도 며칠은 가슴을 후벼 팔 것만 같다.(2023.11.21.)
'[글 따라 마음 따라]: 자작수필 & 자작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상수필: 혼불 여정] (129) | 2023.11.27 |
---|---|
[명상수필: 다시금 서문시장] (114) | 2023.11.27 |
[명상수필: 익어야 한다] (99) | 2023.11.23 |
[명상수필: 정호승의 시를 알고자 한다면] (127) | 2023.11.21 |
[명상수필: 티스토리도 마찬가지다] (97) | 2023.11.18 |